나의 개발일지(김지헌)
로드밸런서 본문
트래픽 : 서버의 데이터 전송량
리소스 : 컴퓨터 시스템 내의 실질적 또는 가상의 부품이나 요소(프린터, 메모리)
리소스라는 용어는 특히 프로그램들이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나 루틴들을 가리킨다
ELB(Elastic Load Balancing)란 여러 가용 영역에서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 트래픽을 여러 EC2 인스턴스 및 리소스로 분산 시켜서 부하를 분산시켜주는 서비스
포트 : 80(HTTP), 443(HTTPS), 22(SSH)
ALB 로드 밸런서 사용해보기
EC2접속
1. 대상그룹생성 -> 인스턴스, 이름, HTTP 80, HTTP1, HealthChecks 기본값 다음 누르고 사용할 EC2인스턴스 클릭 후
아래 보류로 포함 선택 -> 만들기
2. EC2 로드밸런서 클릭 & 생성 -> Application Load Balancer 생성 -> 이름, 인터넷연결, IPv4, Mapping(몇개 까지 사용할꺼냐?)2~4개 체크 -> 보안그룹은 EC2인스턴스에 연결한 보안그룹 선택 -> HTTP 80 만들어둔 대상그룹 선택 -> 생성
3.CloudFront 배포 생성 -> 원본 도메인(로드 밸런서), Redirect HTTP to HTTPS, GET POST DELETE 있는거 클릭, 북미 유럽 아시아 중동 , 대체 도메인 적고, ssl인증서 등록
4. Route53 -> 호스팅 영역 -> 레코드 생성 ->CloudFront에서 적은 도메인, 별칭 CloudFront 선택 후 생성해둔거 선택후 만들기 -> 시간이 지나면 HTTPS 연결 완료
*Get요청은 CloudFront에서 설정한 도메인으로 요청가능 하지만 작성 수정 삭제는 불가능(EC2도메인으로 해야함)
<HTTPS>
2-1.
-> EC2 로드 밸런싱 선택 후 어플리케이션 로드 밸런서 생성 -> 이름, 인터넷 연결, IPv4 -> 네트워크 매핑 두개(or 4개)
-> 리스너 및 라우팅 HTTPS 443 -> ACM에서 인증서 요청 -> 라우트 생성 구매한 도메인 적고 요청
-> ACM 선택 후 생성 -> 보안그룹에서 인바운드 규칙 수정(80 , 443)
4. Route53 -> 호스팅 영역 -> 레코드 생성 후 ELB의 DNS 이름을 입력 후 생성완료 -> Route53와서 사용할 도메인 이름 적고 , 별칭 , application/classic load balabcer , 해당 리전 , 선택
-> Cloudfront 배포 생성
-> 원본 도메인(로드 밸런서), Redirect HTTP to HTTPS, 북미 유럽 아시아 중동 , 대체 도메인 적고, ssl인증서 등록
-> Route53 -> 호스팅 영역 -> 레코드 생성 후 ELB의 DNS 이름을 입력 후 생성완료
-> Route53와서 사용할 도메인 이름 적고 , 별칭 , application/classic load balabcer , 해당 리전 , 선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ypedi로 의존성 관리 해보기 (0) | 2023.04.06 |
---|---|
초기 세팅 (0) | 2023.04.03 |
우분투 기본 공부 (0) | 2023.03.13 |
MYSQL 우분투 설치 및 명령어 (0) | 2023.03.13 |
리눅스 명령어 및 EC2설정 NginX (0) | 202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