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javascript 공부 (4)
나의 개발일지(김지헌)
변수 = [] 변수[순서] const arr = [1,2,3,4,5] //index 는 배열안에 자리 잡은 순서이다 0부터 시작한다. // console.log(arr[0])// 호출한 배열을 부를때는 변수[순서] 해주면 된다. // console.log(arr[1]) // console.log(arr[2]) // console.log(arr[3]) // console.log(arr[4]) console.log(arr.length) //길이는 1부터 시작한다 console.log(arr[arr.length-1]) //마지막요소를 부를때는 길이의 -1 해주면 된다. 배열 추가 및 삭제 배열 추가 const color = ['red', 'blue', 'yello'] console.log(color) //기존..
함수를 만들 떄 사용한다 function 변수(매개변수, 매개변수){실행할 코드} //함수를 선언하겠다. function a ( b, c ) { const sum = b + c //합 console.log(`두 상품의 합은 ${sum}입니다.`) const avg = sum / 2 //평균 return avg //최종 적으로 avg의 할당된 데이터를 반환하겠다. } const b = 1000 const c = 3000 const d = a (b, c) //만들어 두었던 fuction 함수를 실행 console.log(`평균은 ${d}`) // 2000출력
1. 조건문 - if (조건){조건을 만족할떄 실행할 코드} 예제) if (1 > 2){ // (조건) 1은 2보다 크다 console.log("안녕") //1은 2보다 작기 때문에 실행되지 않는다. } if (1 < 2){ //(조건) 1은 2보다 작다 console.log("hi") //1은 2보다 작기 때문에 hi가 출력된다. } - if (조건) {조건을 만족할때 실행할 코드} else {조건을 만족하지 않았을때 실행할 코드} 예제) const price = 10000 if (price 20000){ console.log("안녕!!") //price 값이 20000보다 크지 않기 때문에 실행 X return; } else { console.log("hi!!") //출력 } const price =..
JavaScript의 자료형과 JavaScript만의 특성은 무엇일까? 느슨한 타입(loosely typed)의 동적(dynamic) 언어 - javascript의 변수는 어떤 특정 타입과 연결되지 않고, 모든 타입의 값으로 할당 및 재할당이 가능하다. 8개의 기본 자료형이 있고 숫자형, 문자형, bigint, 불린 형, null, undefined, 객체와 심볼, typeof 연산자가 있다. 더보기 1. 숫자형 -정수 및 부동소수점을 나타내고 * (곱하기), / (나누기), + (더하기), - (빼기), %(나눈 나머지의 값), **(제곱근) 등 이 있다. -Infinity 무한대를 나타낸다. -어떤 숫자든 0으로 나누면 무한대가 된다.(Infinity) console.log( 2 / 0 ); -N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