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38)
나의 개발일지(김지헌)
함수를 만들 떄 사용한다 function 변수(매개변수, 매개변수){실행할 코드} //함수를 선언하겠다. function a ( b, c ) { const sum = b + c //합 console.log(`두 상품의 합은 ${sum}입니다.`) const avg = sum / 2 //평균 return avg //최종 적으로 avg의 할당된 데이터를 반환하겠다. } const b = 1000 const c = 3000 const d = a (b, c) //만들어 두었던 fuction 함수를 실행 console.log(`평균은 ${d}`) // 2000출력
1. 조건문 - if (조건){조건을 만족할떄 실행할 코드} 예제) if (1 > 2){ // (조건) 1은 2보다 크다 console.log("안녕") //1은 2보다 작기 때문에 실행되지 않는다. } if (1 < 2){ //(조건) 1은 2보다 작다 console.log("hi") //1은 2보다 작기 때문에 hi가 출력된다. } - if (조건) {조건을 만족할때 실행할 코드} else {조건을 만족하지 않았을때 실행할 코드} 예제) const price = 10000 if (price 20000){ console.log("안녕!!") //price 값이 20000보다 크지 않기 때문에 실행 X return; } else { console.log("hi!!") //출력 } const price =..
JavaScript의 자료형과 JavaScript만의 특성은 무엇일까? 느슨한 타입(loosely typed)의 동적(dynamic) 언어 - javascript의 변수는 어떤 특정 타입과 연결되지 않고, 모든 타입의 값으로 할당 및 재할당이 가능하다. 8개의 기본 자료형이 있고 숫자형, 문자형, bigint, 불린 형, null, undefined, 객체와 심볼, typeof 연산자가 있다. 더보기 1. 숫자형 -정수 및 부동소수점을 나타내고 * (곱하기), / (나누기), + (더하기), - (빼기), %(나눈 나머지의 값), **(제곱근) 등 이 있다. -Infinity 무한대를 나타낸다. -어떤 숫자든 0으로 나누면 무한대가 된다.(Infinity) console.log( 2 / 0 ); -NAN..
기본 코드의 진행 순서와 작동 원리를 적었다. 과제1) let b = 2; function hi () { const a = 1; let b = 100; b++; // b의 값을 증가 시킨다 console.log(a,b); //진행순서 2 //function hi() {} 안에 값이 찍힌다. // let b = 100 이라는 값을 새로 주었기 때문에 let b = 2의 값은 받아오지 않는다. // const a = 1;, let b = 100;, b++ 실행 (b++ = b의 값을 하나 증가시켜라) // 결과 값 : 1 101 } //console.log(a); //function (){} 안에 선언한 값은 function 문이 품고 있어서 function 밑에서는 값을 받을 수 없다. //주석 지울시 오..
11시에 TIL/WIL 강의를 들었다 -회고록 작성 -내가 어디에서 막혔고 어떻게 이것을 풀어갔는지를 적고 자기를 돌아보는 시간인거 같다. 강의를 듣고 나서 팀원 들과 모여서 프로젝트를 완성을 하고 메인 브랜치에 푸쉬를 하고 최종 점검을 했다. 점검을 완료한 후 도메인을 받아서 완성본을 적용 시켜보고나서 가비아에 연결하여 적용을 하는데 강의 내용에는 ubutu 18.04(ssh 연결 서버간의 보안 연결에 사용하는 암호화 네트워크 프로토콜)를 사용하여 서버를 돌리는 방식으로 사용했다. -돌아가는것 까지는 성공 했지만 :3000 포트번호를 때면 서버 로딩 실패 -몽고 디비로 서버 공간에 저장 해야하는 오류 발생 -가비아에 포트 번호 적용 불가 등의 이유로 도메인을 돌릴수가 없어 웹개발 종합반 5주차에 있는 ..

APP.PY 어제의 서버 코드 수정 url_receive = request.form['url_give'] name_receive = request.form['name_give'] counts = list(db.cafes1.find({}, {'_id': False})) //디비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서 counts라는 변수에 넣어준다. count = len(counts) + 1 //counts라는 변수에 + 1을 한다. //데이터베이스의 저장된 길이에 +1해준다 doc = { 'id' : count, 'content' : "", 'url': url_receive, 'name': name_receive } db.cafes1.insert_one(doc) return jsonify({'msg': '저장완료'}..
오늘 부터 9시 부터 21시까지 항해 99가 시작이다. 9시에 줌으로 OT를 진행하고 간단한 설명과 함께 조원을 만나 미니프로젝트를 시작한다. 팀원 모두 게더에 모여서 어떤 주제로 할지 이야기를 하고 역할 분담을 시작한다. 페이지의 구현, 와이어 프레임, 기능설명, DB, API 설계, 깃 허브 주소를 적어서 내고 역할을 정했다. 역할 정하기 1.메인페이지 2.로그인페이지 3.회원가입페이지 4.디테일페이지 역할을 정하고 각자 수업을 듣고 다음날 모이기로 했다.(메인페이지 구상) 개인 공부를 하다가 18시가 되서 매니저님과 미니프로젝트 검토하는 시간을 가졌었다. 버튼을 누를때 화면 전환 하는것이 a,jax콜을 해야 전환 되는줄 알았지만. 로도 넘어가는것을 처음 알았다. 버튼으로 할시 onclick="변수(..

오전에는 미니프로젝트를 위한 강의를 이어듣고 내가 맡은 메인 페이지의 기능구현과 css를 이용한 웹페이지 꾸미기 까지 만들었다. 메인 페이지 기능 구현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한다.( onclick 으로 구현 폴더안에 html 로 이동한다.) 조인버튼을 누르면 회원가입 페이지로 이동한다. ( onclick 으로 구현 폴더안에 html 로 이동한다.) 1.url 를 입력하고 카페이름을 입력한후 기록하기 버튼을 누른다 2. 이때 url과 카페이름이 빈칸이면 입력하시오 라는 알람이뜬다. 3.입력한 url과 카페이름을 받아 서버로 전송한다. (마지막의 else를 넣지않아 입력하시오라는 알람과 함께 바로 저장되었던것을 수정했다. 아직 익숙하지않아 미흡하게 수정했었다.) function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