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38)
나의 개발일지(김지헌)
Route53 :도메인 네임을 구매 및 구입한 도메인 네임과 또는 이미 가지고 있는 도메인 네임에 IP주소를 매칭 시켜주는 것 DNS : 도메인 네임 시스템으로 호스트의 도메인네임(www.exp.com)을 네이트워크 주소(137.233.2.2, 즉 IP주소)로 변환 해주거나 반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 ex) 네이버 - 223.130.200.104, 구글 - 142.250.207.14 네임서버: 네임서버란 등록한 도메인이름을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로서, 도메인이름을 인터넷상의 주소(IP주소)로 변환시켜 원하는 컴퓨터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합니다. 만약 네임서버가 없다면, 등록된 도메인이름일지라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1.도메인이 없을경우 AWS사이트에서 Route53 클릭 -> 좌측 바에 등록된..

개발자 친화적 환경에서 짧은 지연 시간과 빠른 전송 속도로 데이터,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및 API를 전세계 고객에게 안전하게 전송하는 고속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서비스,기본 보안 기능(Anti-DDoS)를 제공 - 유저가 바로 S3로 접근하지 않고 클라우드프론트를 거쳐서 S3로 접근(User -> CloudFront -> Bucket S3) CDN이란? 더보기 - CDN : (Content Delivery Network or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은 콘테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여러 노드를 가진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ISP)에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 전송, 콘텐츠 병목을 피할 수 있음 e..
npm i -g @nestjs/cli // 이 작업을 수행하면 nest가 깔리고 nest 라는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됨 nest new project-name(프로젝트 이름) -묘듈만들기 nest g co mo 모델명 -컨트롤러 만들기 nest g co 모델명 -서비스 만들기 nest g service 모델명 providers : nest 인젝터에 의해 인스턴스화되고 적어도 이 모듈에서 공유 될 수 있는 공급자

시간 복잡도 : 알고리즘 실행 속도 성능 표기법 빅오 표기법 BIG-O 알고리즘 최악의 실행 시간을 표기 가장 많이/일반적으로 사용 아무리 최악의 상황이라도, 이정도의 성능은 보장한다는 의미이기 때문 입력 n에 따라 결정되는 시간 복잡도 함수 O(1) < O(logn) < O(n) < O(nlog) < O(n^2) < O(2^n) < O(n!) 공간 복잡도 : 알고리즘이 사용하는 메모리 사이즈 해쉬 테이블 : 구조 : 키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 해쉬 : 임의 값을 고정 길이로 변환 하는것 슬롯 : 한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 트리 : 노드와 브랜치를 이용해서, 사이클을 이루지 않도록 구성한 데이터 구조 node : 트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요소 root node : 트리 맨 위에..

프로세스 : 프로그램이 실행 되는 형태 큐 : FIFO 정책을 씀 가장 먼저 넣은 자료를 먼저 꺼내씀 enqueue : 데이터를 넣는 기능 dequeue : 데이터를 꺼내는 기능 스택 : LIFO 정책을 씀 가장 나중에 넣은 자료를 먼저 꺼내씀 push : 데이터를 스택에 넣기 pop : 데이터를 스택에서 꺼내기 프로세스 함수 동작 방식에서 많이 쓰인다 프로세스 스택이 이런 스택이란 자료구조 기반으로 만들어 졌다. 장점 : 구조가 단순해서 구현이 쉬움,데이터 저장/읽기 속도가 빠름 단점 : 데이터 최대 갯수를 미리 정해야 함 링크드리스트 연결 리스트라고 함 배열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공간에 데이터를 나열하는 데이터 구조 링크드리스트는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화살표로 연결해서 관리하는 데이터 구조 노..
40. 동시성과 병렬성을 비교하여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동시성동시에 실행 되는 거 같이 보임 한번에 많은 것은 처리, 논리적인 개념 싱글코어에서 멀티쓰레드를 동작 시키는 방식 동시성은 적어도 두 개의 스레드가 진행 중일 때 존재하는 조건이며, 가상 병렬 처리의 한 형태로 시간 분할(time-slicing)을 포함한다. 병렬성 병렬성도 동시성을 의미하지만 동시성과의 차이는 각 코어내의 스레드가 실제로 동시에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음을 말한다.멀티 코어에서 멀티 쓰레드를 동작시키는 방식 실제로 동시에 여러 작업이 처리되는 것, 한번에 많은 일을 처리, 물리적인 개념 41. 깊은 복사와 얕은 복사의 차이는 무엇이고 JS에서 각각을 구현하는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깊은 복사 …(Spr..
오늘은 기술 면접을 봤는데 스레드에 대해 질문하셨는데 공부가 부족해서 대답하지 못했다. 그래서 공부를 해야 할 거 같아서 정리하는 겸 써봐야 할 거 같다 프로세스(process)란? 프로세스(process)란 단순히 실행 중인 프로그램(program)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에 의해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아 실행 중인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데이터와 메모리 등의 자원 그리고 스레드로 구성됩니다. 이것보다 더 작은 실행 단위는 스레드이다. 프로세스마다 최소 스레드 1개는 만들어진다. 스레드(thread)란? 스레드(thread)란 프로세스(process) 내에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의미합니다. 모든 프로세스에는 한 개 이상의 스..
오늘은 6시에 수료식을 했다. 앙케이트 같이 투표를 해서 상을 줬었다. 잘 들어줬어 넌 항상 을 받았는데 의지가 되는 동료 였다는게 정말 기쁘게 느껴졌고 좋았다. 내일은 면접이여서 기술 면접 준비를 하고 있는데 생각보다 머리게 잘 들어오지 않는거 같고 이해하는게 조금 힘든거 같다 한번에 많이 넣는다는 느낌이라 빡센거 같다. 하지만 준비를 잘해서 내가 발전 할 수 있는 회사에 취업해서 재미있게 놀고 싶다. 40. 동시성과 병렬성을 비교하여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동시성동시에 실행 되는 거 같이 보임 한번에 많은 것은 처리, 논리적인 개념 싱글코어에서 멀티쓰레드를 동작 시키는 방식 동시성은 적어도 두 개의 스레드가 진행 중일 때 존재하는 조건이며, 가상 병렬 처리의 한 형태로 시간 분할(time-slici..